본문 바로가기
Mathematics/Quant

『손에 잡히는 퀀트 투자 with 파이썬』 Chapter 10. 기술적 지표 기반 투자 전략

by Night Fury 2024. 10. 29.
반응형
GIL's LAB, 『손에 잡히는 퀀트 투자 with 파이썬』, 위키북스(2022), p472-518.

 

추세 지표

모멘텀

모멘텀: 시장의 과매입 or 과매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상승 및 하락을 알려주는 기초적인 추세 지표

  • 모멘텀_n = (금일 종가 - n 영업일 전 종가) / n 영업일 전 종가 * 100 (%)
  • 모멘텀이 양수: 현재 상승 추세에 있다고 판단해서 매수
  • 모멘텀이 음수: 현재 하락 추세에 있다고 판단해서 매도
  • 모멘텀이 작은 경우는 위험, 큰 경우는 수익이 발생할 수 있음

 

방향성 지수

방향성 지수(Directional Movement Index; DMI): 시장의 추세와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

  • 용어
    • PDI(Plus Directional Indicator)
    • MDI(Minus Directional Indicator)
    • ADX(Average Directional Index)
    • PDM(Plus Directional Movement)
    • MDM(Minus Directional Movement)
    • TR(True Range)
  • PDI, MDI로 매수, 매도 세력 중 어느 세력이 강한지 판단
    • PDI > MDI : 매수 세력이 강함
    • PDI < MDI : 매도 세력이 강함
  • ADX 지표로 강도를 판단 (클수록 추세가 강하다고 봄)
    •  통상적으로 ADX > 25를 추세가 강한 것으로 간주
  • PDI = PDM / TR
    • PDM = max(금일 고가 - 전일 고가, 0)
    • TR = max(|금일 고가 - 금일 저가|, |금일 고가 - 전일 종가|, |금일 저가 - 전일 종가|)
  • MDI = MDM / TR
    • MDM = max(전일 저가 - 금일 저가, 0)
  • DX_n = (PDI_n - MDI_n) / (PDI_n + MDI_n) * 100
  • ADX = DX_n / n

 

엔벨롭

엔벨롭: 저가가 지지선에 닿을 때 매입하고, 저항선에 닿을 때 매도하는 전략

  • 저항선: n일 이평선 * (1+a)
  • 지지선: n일 이평선 * (1-a)

 

지지선을 낮게, 저항선을 높게 잡을 때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But a가 크면 클수록 매매가 적게 이뤄지기에 보유하는 기간이 길어서 높은 수익으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음

 

시장 지표

EOM (Ease of Movement)

EOM: 주가와 거래량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한 지수

  • 거래량이 적은데 주가가 상승할 때: EOM 지수가 큼
  • 거래량이 적은데 주가가 하락할 때: EOM 지수가 작음
  • 거래량이 많고 주가 변동이 없으면: 0 근처에서 변동
  • EOM or EOM의 n일 이동 평균이 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
  • EOM = midpoint move / box ratio
    • midpoint move = {(당일 고가 + 당일 저가) - (전일 고가 + 전일 저가)} / 2
    • box ratio = (거래량 / 10000) / (당일 고가 - 당일 저가)

결과가 좋지 않았음

 

RSI (Relative Strength Index)

RSI: 시장에서 매수와 매도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 RSI = n영업일의 상승 폭 합계 / (n영업일의 상승 폭 합계 + n영업일의 하락 폭 합계)
    • 상승 폭: 당일 종가가 전일 종가보다 큰 경우에, 당일 종가 - 전일 종가로 계산, 그렇지 않으면 0
    • 하락 폭: 전일 종가가 당일 종가보다 큰 경우에, 전일 종가 - 당일 종가로 계산, 그렇지 않으면 0
  • RSI >= 0.7 : 초과 매수 국면
  • RSI < 0.3   : 초과 매도 국면

n이 클수록 기대 수익이 커지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전략

 

MFI (Money Flow Index)

MFI: 자금이 유입 혹은 유출되는지를 측정해서 가격의 추세 전환 시기와 과열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

  • RSI에 거래량을 추가로 고려한 지표
  • MFI = MR / (1+MR)
    • MR = PMF / NMF
    • PMF (Positive Money Flow): 당일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상승했을 때, MF(Money Flow)의 합계
    • NMF (Negative Money Flow): 당일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하락했을 때, MF(Money Flow)의 합계
  • MF = 거래량 * (당일 고가 + 당일 저가 + 당일 종가) / 3
  • MFI >= 0.7 : 초과 매수 국면
  • MFI < 0.3   : 초과 매도 국면

RSI보다는 낮은 수익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 (RSI보다 편차가 작음 = 베타가 작음)

 

평균 회귀 전략

평균 회귀 전략: 낙폭이 심했던 주가는 다시 평균 수준으로 돌아온다는 전략

  • n1 영업일 동안 m1(%) 이상 하락한 주가는, 이후 n2일 영업일 동안 m2(%)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가정
  • 과거 시점 내에 최대 m1만큼 하락했으면, 미래 시점까지 현재 주가 대비 m2 이상 상승하면 바로 매도

코스피 종목에는 편차가 크고 평균이 작았음

우량 종목에서는 코스피보다 수익률이 컸음

코스닥 종목에서는 높은 수익률로 이어졌음

 

단, 분석은 상장 폐지 종목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평균과 중위수가 높게 나왔을 가능성이 큼

우량 종목은 상장 폐지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평균 회귀 전략은 우량주에 적용하는 것이 좋아 보임

반응형

댓글